알지 못하는 아이의 죽음을 읽고
‘알지 못하는 아이의 죽음’은 장시간 노동과 사내 폭력으로 스스로 목숨을 끊은 현장실습생 김동준 군의 죽음으로부터 출발해, 산업재해로 세상을 뜨고 나서야 겨우 보이는 청(소)년 노동자, 그리고 대학입시 중심의 교육에서 보이지 않게 된 특성화고 학생들의 목소리를 담은 책. 독서 감상문 소속 : 상대원푸른학교 지역아동센터 이름 : 이정은 책이름 알지 못하는 아이의 죽음. 저자 은유 출판사돌베게 감상평 특성화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취업한 아이이의 죽음. cj진천 소세지 공장 이야기라 놀랐다. 예전에 cj 이천 공장이 소세지, 햄 공장이었는데 13년 전에 불이 나서 진천 공장으로 옮겨진 것으로 알고 있다. 2002년 난 전문대학 식품과를 졸업도 하기 전 cj 공장 분석실로 취업을 했었다. 매일 출시되는 제품에 대한 미생물 검사를 하는 일이었는데 그때 공장도 전문대학 임상병리과나 식품과를 졸업한 졸업생을 분석실에 투입해 역량을 전문화 시키자는 것이 공장의 지침이었다. 그 당시 취업을 하고 보니 특성화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이 공장 곳곳에서 일하고 있었다. 분석실과 생산라인 곳곳에서 일하고 있었다. 공장이 시내가 아닌 한적한 곳에 위치해 있어 80%가 기숙사 생활을 했지만 나름 반복되는 단순 노동일을 열심히 하였고 동기들끼리의 모임이 잘 조성되고 있어서 이런 일이 일어나리라곤 생각도 못했다. 2교대로 진행되는 고된 노동에 지쳐있긴 했었지만 특성화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은 등급이 다르긴 했지만 cj직원으로 소속되어 월급이 꾸준히 나온다는 것에 일을 그만두지 못했다. 부모들도 “네가 어디 가서 취업하겠니? cj 제일제당이면 우리나라에서 알아주는데” 식의 인식이 있어서 답답하고 힘들어도 그만두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일이 끝나고 나면 모두들 같이 모여 시내로 가서 술을 마시고 기숙사에서 자고 난후 아침이 되면 다시 일을 하였다. 그것도 주간에 일할 경우에만 가능했고 저녁 조는 24시간을 공장에서 보내야만 했다. 취업생들 중 공장을 오래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