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3회 성남문화 예술제- 초등학생 시 부문>
엄마 잔소리
검단초등학교 3학년 2반
장 희 수
이른 아침부터
시끌 시끌
엄마 잔소리
일어나라
옷 입어라
세수해라
수업이 끝나고 집으로 향할 때
핸드폰으로 들려오는
엄마 잔소리
손 씻어라
게임 하지 말아라
숙제해라
피아노 학원 가라
하지만
저녁 7시만 되면
그리운 엄마 목소리
나는 핸드폰을 들고
잔소리 엄마에게 전화를 한다.
누군가를 위한 마법카페
누군가를 위한 마법카페 장 인 수 내 꿈은 음악을 만드는 작곡가이다. 사실 작곡가가 꿈이긴 하지만 작곡을 잘 하는 것도 아니고, 좋은 장비를 갖고 있지도 않다. 어찌 보면 작곡가가 꿈이라기 보단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일수도 있다. 지금까지는 그냥 좋아하는것을 “꿈”이라고 여겨왔지만 사실 꿈이 뭔지 정확히 모르겠다. 어떤 사람에게는 단순한 직업이고, 또 돈벌이 수단으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가끔씩 내 진로에 대해 생각하다보면 흔히 마주치는 벽인데, 이번 대회에 이 책을 읽고 내 꿈이 뭔지 한 발짝 다가간 것 같다. 내가 읽은 책은 “꿈을 요리하는 마법 카페”이다. 이책의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자면, 주인공이 공부만 하는 삶에 지구라는 카페를 발견하게 된다. 그곳에서 한 아줌마를 만나며 꿈에 대해 알아가고, 결국 세계 일주라는 꿈을 이루게 된다. 이 책을 읽고 초반에는 세계일주가 꿈이라니, 실현하기 힘든 꿈이라고 생각했지만 단순히 여행만 하는 삶이 아닌 UN의 사무총장이 되면서 여행의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고 실행했다. “꿈”이라는 건 구체적이거나 또 단순해도 괜찮은 것 같다. 내가 생각하는 꿈의 제일 중요한 부분은 꿈을 계획하는 것이 아니라 꿈을 향한 실천과 꿈을 향한 뛰어들기, 그러니깐 도전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나도 막연히 작곡가가 꿈인 것이 아닌, 꾸준히 작곡을 연습하고 여러 곡을 들어보며 구체적으로 어떤 음악, 어떤 장르의 작곡가가 될 것인지 생각해 봐야 할 것 같다. 또 그렇게 경험들을 쌓아가고 나중에는 결국 나만의 뚜렷한 음악 스타일과 장르가 결정될 것이다. 사실 난 작곡을 뛰어나게 잘하는 편이 아니라서 내가 진정 이 길로 가서 잘할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을 했다. 내 생각에 작곡가는 모아니면 도인 직업이다. 나의 잘못된 ...
"엄마 언제와?" - 딸 잔소리(엄마 씀)
답글삭제